[하성인 기자] 우리 주변에는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들을수 없기에 말도 할수 없다는 사실을 아는가? 이들을 우리는 '농아인'들이라고 말한다.
우리와 하나 다를 것 없지만, 다만 들을수 없기에 말할수 없고, 그러다 보니 오늘날과 같은 다중의 미디어가 발달한 시대에 살면서도 그 혜택을 십분지 일도 못 누리고 사는 이들에게 조금의 도움이 되고자 최근 (사)영롱회에서 '소리를 보는 사람들(라온누리/홍승희 옮김)'을 번역 출판했다.
이 책은 스위스에서 발간한 책으로 농인 8명과 난청인 1명 그리고 수어통역사 모두 10여명의 이야기를 담은 책으로 독일어권 스위스 농인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담을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농사회, 농문화적 배경과 차이가 있을 수도 있지만, 각자의 어린시절부터 다양한 에피소드들을 통해 농인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쉽지 않음을, 이해받지 못하고 지내온 과거의 농문화, 현실에서의 어려움 등을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우리가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는 농인(청각장애인)의 삶, 어려울 것 없을 것처럼 보이는 그들의 삶이 어떤 부분에서 좌절을 겪고, 또한 각자가 현실에서 헤쳐나가는 방법을 통해 일반 청인들이 잘 모르고 있던 그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또한, 수어통역사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이 얼마나 큰 의미를 가지는지, 인공와우를 통해 다시보는 삶 등, 귀가 아닌 눈으로 듣고 눈으로 보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 내고 있다.
이번에 출간한 책은 지난 2013년 미국 갤로뎃대학교 출판사의 'deaf daughter hearing father(농인 딸아이를 키우는 아버지의 육아일기)'를 출간한 뒤, 이어 2020년 농자녀를 둔 일본인 어머니 다마다 사토미가 쓴 '小指のおかあさん(수어로 키우고 싶어)'를, 2022년 미국 농인협 회의 'Legal Rights : The Guide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인권과 장애)'로 출간한 이후 네 번째 번역 출판했다.
이 책의 원제목은 “Augenmenschen”으로 영어로 번역하면 eyeperson이 되고 우리말로는 '보는 사람' 즉 '시인(視人)'으로 번역할수도 있는데, (사)영롱회를 이끌고 있는 안일남 이사장은 "농인은 일상적인 소리를 듣기 어렵기에 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수어'는 보이는 언어이며 농인들에게 있어서는 '모국어'라고 할수도 있다"며 "한글이 농인들에게는 제2외국어이며 언어가 다르면 다른 민족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면서, "이 책을 통해 한 단면이지만 외국 농인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으며 우리나라 농인들과의 유사한 점이나 차이점들을 살펴보며 농사회의 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했다.
한편, 장애계가 88올림픽 이후 많은 발전을 해 왔지만 농인 사회의 발전은 더디게 이어져 오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청각장애로 등록된 인구는 2023년 5월말 기준 통계로 43만 3천 명으로 전체15개 장애유형에서 16.4%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로 되면서 노인성 난청이나 중도 청각장애인들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으로 농사회에 대한 우리사회와 당국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각별한 배려가 필요한 때이기도 하다.